Write Bossanova,

격리 마지막 날이 다가왔고 알람의 시간을 다시 바꾸며 아쉽기 짝이 없었다 본문

DAILY LOG

격리 마지막 날이 다가왔고 알람의 시간을 다시 바꾸며 아쉽기 짝이 없었다

KNACKHEE 2022. 5. 30. 15:57

격리 기간 동안 일드를 많이 봤다. 대책 없이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이야기들. 그런 이야기들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게 가끔은 부끄럽지만 어쩔 수 없이 지금보다 어렸을 때도, 나이가 먹은 지금도 나는 여전히 그런 것들이 좋다. 그리고 얘네는 좀 엽기적이고 어느 부분에서는 미친듯이 가부장적이면서도 변화하는 사회 문화, 의식의 최전선의 어드메라도 붙잡고 이야기를 해보려는 모습이 보이는 게 좀 흥미롭다. <혼인신고서에 도장을 찍었을 뿐인데>에서는 계약 결혼이라는 클리셰를 기반으로 사실혼의 의미를 짚었고 <히야마 켄타로의 임신>에서는 투박하게나마 미러링을 보여줬다. 아, <노다메 칸타빌레>도 다시 봤는데 우에노 주리 님 진짜 새삼 너무 예쁘시더라고.
_

정말 몇 년 만에 종영 전에 본방사수,라는 걸 한 드라마가 끝났다. 나름 희망을 던지며 끝났지만 마음은 계속 착잡했다. 모든 인물들이 녹록지 않은 현실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이 결국은 변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신의 마음을 바꾸는 것뿐이어서. 그런데 그 마음을 바꾸는 장치가 결국은 또 연애,여서. 모든 등장인물 중에 창희 캐릭터가 가장 좋았던 건 그러한 맥락에서 조금 빗겨나 있는 인물이어서 인 것 같기도 하다. 와중에 하나 좋았던 건 서울살이,를 드라마틱한 장치로 쓰지 않았다는 거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뭐랄까, 거칠게 표현하면 사회적으로 더 나은 위치에 있는 여성 캐릭터들이 그보다 어떤 측면에서든 낮은 위치의 남성 캐릭터들을 포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게 내내 좀 걸렸다. 서로가 서로의 구원이었는데!라고 하면 사실 할 말은 없지만, 서로의 구원이 될 수 있는 대상이 왜 그런 층위로 나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딴지를 걸어볼 수 있는 게 아닐까.
_

격리 마지막 날이 다가왔고 알람의 시간을 다시 출근 시간에 맞춰 바꾸며 아쉽기가 짝이 없었다. 격리 정말 좋았다. 합법적으로 너는 아프니까 쉬어야 해, 주말에도 어디 나가면 안 돼,라고 해줘서. 예약해둔 국중박의 재벌가 특별전을 갈 수 없었던 건 좀 아쉬웠지만 주말에도 부지런히 어딘가를 가서 보고 생각하려 애쓰지 않아도 됐던 건 정말 좋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은 시간, 무언가를 머릿속에 욱여넣고 실무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 애쓰는 걸 조금 더디 해도 됐던 시간. 진짜 좋았다.